사회운동가 이태영 박사

Honor Record

업적

대한민국 첫 여성 변호사
사회운동가

나라를 사랑한
여성계의 대모 (代母)

1914~1998

이태영 박사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변호사 / 인권운동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변호사

1936년 이화여전 가사과를 수석으로 졸업. 1946년 여성으로는 최초로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였고, 6년 뒤인 1952년에는 제2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여성으로서 최초로 합격하였으나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에 의해 그가 야당 인사의 아내라는 이유로 판사 임용을 거부당하여 국내 1호 여성 변호사가 됨. 남성 편향적인 법과 제도에 저항하며 한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로 늘 최초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 이태영 박사의 노력이 없었다면 지금도 여전히 많은 여성들이 불합리한 법 제도로 인해 차별받고 있었을 것임.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설립 및 법률구조 활동

1956년 남존여비의 봉건적 폐습 아래 억눌려 살고 있던 여성들을 돕기 위해 여성법률상담소(現한국가정법률상담소)를 설립하였음. 여성과 가정문제를 법률적,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법률구조사업을 시작하면서 법률상담은 물론 가정 문제의 화해, 조정과 함께 법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대서와 소송도 무료로 맡아서 해 주었음. 또한, 법률구조사업 이외에 가정 문제 예방을 위한 의식개혁 사업의 일환으로 사회교육사업과 함께 법률계몽 등을 위한 상담사례집 및 정기간행물을 발행함.

민주화 운동

한국 역사의 독보적인 여성인권 운동가였던 이태영 변호사는 여성 운동과 더불어 민주화 운동을 병행, 1971년 신민당에 입당하여 김대중 대통령 후보의 찬조 연사로 전국을 누볐으며, 독재정권에 저항하다 구속된 이들의 무료 변론에도 적극적으로 가담했음. ‘3•1구국선언’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1977년 변호사 자격을 박탈 당했다가 1980년 복권됐고, 그해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의 증인으로 군사법정에서 김대중 전대통령 편에서 변호함. 1987년 73세의 노구를 이끌고 민주화와 직선제개헌을 요구하는 가두시위에 앞장서며 6.29선언을 이끌어냄.

교육사업과 인재양성

1963년 당시 10년간 단 한 명의 고시 합격자 없이 존폐 위기에 있었던 이화여자 대학교에 법정대학 교수 겸 학장으로 부임함으로써 1971년까지 법학, 정치학 박사, 경제학 박사뿐만 아니라 다수의 고시 합격자를 배출해냄. 또한, 1964년부터 이화여대 법학과를 비롯한 여러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법률 임상실습을 진행함으로써 이른바 임상 법학 교육의 효시가 되었고 이 임상 법학 교육은 오늘날 로스쿨의 핵심이 되고 있음.

가족법개정 운동 및 호주제 폐지

1952년 당시 신민법안(案)에서 남녀차별, 부부차별적인 조항을 상속범위 내 남녀 차별 없이 친족 8촌, 인척 4촌까지 확대하고, 이혼 여성 배우자의 재산 분할 청구권 등을 인정받기 위한 가족법 개정 운동을 하였으며 1962년 가사사건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가정법원 설치를 최초로 제안함. 여성의 법적 지위 향상을 위해 국민 계몽을 위한 강연, 해설, 책자 발간, 토론회, 지도자 양성, 가두 캠페인, 대중 강좌 개설 등 꾸준한 운동의 결과 1958년, 1977년, 1989년 세 차례에 걸쳐 가족법 개정을 이뤄냈으며, 마침내 2005년 3월 호주제가 폐지됨.

수상내역
2017년 '세계 여성의 날' 구글이 선정한 세계 여성 13인에 선정/ 세계법률부조상 / 막사이사이상 / 법을 통한 세계평화상 /유네스코 인권교육상 / 국제 소롭티미스트 여성을 돕는 여성에게주는 상 / 국제변호사회 국제법률 봉사상 / 세계감리교 평화상/ 국민훈장 무궁화장 / 3.1 문화상 / 외 19개 수상
Path Milestone

걸어온 길

1904 ~ 1950
1914
8월 10일
평안북도 운산군 북진읍 진동에서 이흥국 선생과 김흥원 여사의 2남1녀 중 막내로 출생
1931
평양 정의고등보통학교 졸업
1936
이화전문학교 가사과 졸업
정일형 박사와 결혼
194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과) 졸업
1952
제2회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
여권신장을 위한 가족법 개정운동 시작
1954
대한YWCA 연합회 이사
1956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창설(소장)
1958
세계여류법률가협회 부회장
1963
이화여대 법정대학장
1969
서울대학교 법학박사(『한국이혼제도연구』)
장한어머니상 수상 (새싹회)
1970
국제법률구조연합회 부회장
1971
제1회 법을 통한 세계평화상 수상
1972
제14차 세계 변호사 회의에서 법률문화상 수상
1973
세계 여자변호사회 부회장
1974
민주회복국민선언 참여
1975
막사이사이상 사회지도부문 수상
1976
3.1민주구국선언 참가
기소 후 유죄판결로 변호사 자격 박탈
여성백인회관 설립
1978
제3회 세계법률구조상 수상
1980
국제소롭티미스트로부터 여성을 돕는 여성상 수상
1981
미국 뉴저지 드류대학 명예법학박사
1982
유네스코 인권교육상
1984
‘가족법 개정을 위한 여성연합회’ 회장
세계감리교 평화상
1986
국제법률가위원회 부회장
이화여대 100주년기념 공로 표창
1989
브레넌 인권상 수상
1990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상
여성전문인상 수상 (아시안퍼시픽여성네트워크)
1991
용신봉사상 수상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제1회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에 선정
1992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로 평양토론회 참석
3.1 문화상 수상
1995
제1회 자랑스러운 이화인상
1998
제12회 춘강상 여성지도부분 수상
1998
12월 17일
영면 (정일형 박사와 합장, 국립서울현충원)
2002
국가유공자로 됨 (국무회의 의결)
2017
구글이 선정한 ‘2017년 세계여성의 날’ 여성인물 선정
2019
초등학교 5학년 도덕교과서 등재 (지학사)
2025
고등학교 검정고시 정치와 법 교과서 등재 (주)금성출판사
photo archive

기록으로 남은 여정

가족법 개정 운동모습
가족법 개정 운동 모습
여성백인회관 기공식
1976. 5. 10 여성백인회관 기공식 (한국 가정법률상담소 제공)
김대중 대통령 후보 유세
1971년 100만 명이 모인 장충단 공원에서 김대중 대통령후보 선거 유세중
테레사 수녀와 함께
테레사 수녀와 함께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
1952년 제2회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 판사 시보 사진
1987년 이한열 열사 장례 행렬
1987년 이한열 열사 장례 행렬에서 선봉 하는 여성 지도자들과 함께하는 모습, 뒤쪽에 김영삼, 김대중 (우측 2번째 이태영 박사, 좌측 2번째 이태영 박사 며느리)
막사이사이상 수상
1975년 이태영 - 막사이사이상 사회지도부분 수상
법률문화상 수상
1972년 이태영 제4회 법률문화상 수상
브래넌 인권상
1989년 3월 이태영 미국 뉴저지 주립대에서 브래넌 인권상 수상
상담사진
1976년 추정 이태영 상담사진
국민훈장 수상
1990년 12월10일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상
가정법률소장 이취임식
1995년 3월30일 이태영 가정법률소장 이취임식
여성연합회 회의
1984년 7월21일 이태영 - 가족법 개정을 위한 여성연합회 회장단 회의
세계평화상 수상 기념식
1971년 10월15일 이태영 창립 15주년 기념식 및 법을 통한 세계평화상 수상 기념식
여성 법률상담소  개소식
1956년 8월25일 이태영 여성 법률사무소 개소식
1981 이태영 독사진
1981년 10월 이태영 독사진(샘 깊은 물 기자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