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투사 정일형 박사

Honor Record

업적

대한민국 독립 운동가
건국공로자

나라에 헌신한
민주주의 투사 (鬪士)

1904~1982

정일형 박사

독립운동가 / 국회의원(8선) / 외무부장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1919년 3ㆍ1운동 당시(16세) 동지들과 함께 태극기 5,000여 장을 제작 및 배포해 시위대 주동자와 함께 정일형 박사도 평양 경찰서에 수감됨. 1937년부터 모교인 연희 전문학교와 숭실 전문학교 그리고 감리교 신학교의 교수로 재직했으나 신사참배 반대, 창씨개명 반대 등 배일사상의 선도자라는 죄목으로 1940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해방 전까지 일제하에서 5년의 세월 동안 총 20회에 걸친 투옥 생활을 이겨내며 항일 독립투쟁 끝에 조국의 해방을 맞이함.

목회와 농촌사회 계몽운동

1935년 미국 드류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음. 귀국 후 감리교 신학교 교수로 취임하였고 중앙신학교 설립 등 젊은 목회자양성에 힘썼으며 또한, 암울한 식민지하에 농촌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선교활동을 통한 종교적 독립운동과 농촌 계몽활동에 헌신함. 정일형 박사는 ‘기독교 정체성’을 유지하며 그 가치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목회와 정치 현장에서 기독교 정신을 구현하고자 노력함.

대한민국 정부 승인과 UN 가입 기여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 초대 특사단 부사로 활동하며 그해 10월 제3차 파리 UN 총회의 한국 대표로 UN의 한국 정부 승인을 획득함. 또한, 1949년 UN 한국협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1951년 제6차 UN총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을 UN의 준회원국으로 가입을 성공시킴. 이후, 1991년 UN 회원으로 가입의 초석이 됨.

민주당 창당과 정계활동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으로 (종로/중구) 당선되어 정계에 진출하였으며 국회 외무위원장 및 간사로 의정 활동과 외교의 보직을 수행했고, 1954년 범야 민주 세력을 단합 ‘호헌동지회’를 결성하였음. 1955년 민주당 창당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자유당의 독재 정권과 투쟁하여 현재까지 70여 년을 이어온 민주당의 창당을 주도하였음. 1960년 4.19의거 후 제2공화국 출범과 함께 제5대 국회의원(중구 을)이 되는 동시에 내각에서는 수석 국무위원으로 외무부 장관을 역임. 1963년 제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1965년 굴욕적이고 불평등한 한·일 협정에 반대하여 의원직을 사퇴하였고 1967년 제7대 국회에 진출하여 신민당 부총재로 선임. 1973년 신민당 대표 권한 대행에 추대되고 제9대 의원에 당선, 8선 의원이 됨으로써 한국 의정 사상 지역구 최다선 의원의 기록을 세웠고 가장 긴 의회 활동함.

민주화 투쟁

1969년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통한 독재 장기집권의 개헌 반대투쟁에 앞장섬. 1974년 국회 대정부 발의 중 박정희 대통령에게 “어찌하여 유한한 인간의 지도자가 무한한 국민의 정부를 영구하게 통치하려고 합니까?” 라고 발언하며 ‘장기집권’ 등 7가지의 책임을 물어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함. 1976년 3월 명동성당에서 거행된 유신정치에 반대하는 3.1민주구국선언에 부인 이태영 박사와 함께 참여하였다는 이유로 3년징역을 언도받아 정일형 박사는 국회의원직을, 이태영 박사는 변호사 자격을 박탈당함. 정일형 박사는 많은 활동의 제약과 위협에도 불구하고 독재견제와 민주투쟁에 혼신의 힘을 다하며 야당의 선봉에 서서 정면 투쟁함.

수상내역
1961년 필리핀 정부 문화훈장 수장
1982년 서거일, 사회장 및 무궁화 훈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독립유공자)
Path Milestone

걸어온 길

1934 ~ 1950
1904
2월 23일(음)
평안남도 진남포 앞바다 제섬에서 정기찬 선생과 한은총 여사의 3대 독자로 태어남
1922
3월
광성고(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 졸업
1927
3월
연희전문(현 연세대학교) 문과 졸업
1935
6월
미국 드류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졸업, 철학박사 학위 취득
1937
10월
감리교 신학교 교수
1938~1945
일제치하에서 5년간 옥고를 치름
1945~1948
과도정부 인사행정처장 및 물자 행정처장
1946
8월 1일
중앙신학교 설립
1947
4월 20일
교파초월 평신도 양성목적으로 중앙신학원 개원
1948
4월 20일
중앙신학교 우암재단 설립
8월 12일
중앙신학교 우암재단 설립(4년제)
8월
제3차 UN파리 총회 한국대표 참석, 한국 정부 승인을 획득함
1948~1956
중앙신학교 우암재단(현 강남대학교) 초대 이사장
1948~1977
1977년 까지 2대 국회부터 9대 국회까지 8선 의원을 지냄
1950~1952
대한통신사(UPI) 사장
1951
12월
국회 외무위원회 위원장 및 간사(10년간 역임)
1953
9월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교) 3대 학장
1955
9월
민주당 서울특별시 당대표 최고위원(3년간 역임)
1960
8월
제2공화국 외무부장관
9월
제15회 UN 총회 수석대표(1960년~1961년)
1961
2월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외상회의(비.월.중.한 4상회의) 참석, 필리핀 정부로부터 문화훈장 받음
1963
2월
5.16 군정종식을 위한 재야 12인 정치지도자회의에 참여
1965
8월
한일협정 반대, 국회의원직 사퇴
1967
4월
신민당 부총재
1968
1월
사할린 억류 교포 송환 촉구 교섭 차, 제네바 국제적십자사 및 일본, 영국 등 여러 나라 방문
1971
2월
제7대 신민당 대통령 후보(김대중) 선거대책 본부장
1973
1월
신민당 대표 권한대행
1976
3월
명동성당 “구국선언” 사건으로 3년 형을 언도 받고, 국회의원직 및 공민권 박탈 당함
1977
5월
신민당에서 민주투쟁 공헌으로 기념장 받음
1980
2월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1979년 10월26일) 후 복권조치 됨
1981
5월
미국 드류대학교 명예박사 학위 취득
1982
4월 23일
서거, 사회장 및 무궁화 훈장 추서, 국립서울 현충원 국가유공자 제1묘역에 안장
1990
9월 15일
건국훈장 애국장(독립유공자)추서됨
Photo Archive

기록으로 남은 여정

장면 박사와 함께
장면 박사와 함께
국회에서 대정부 질의 발언
국회에서 대정부 질의 발언 중
1972년 신민당 시위
1972년 6월 5일 신민당 의원 시위 광경
제9대 국회의원선거 벽보
제9대 국회의원선거 정일형 후보 벽보
1948년 UN파리총회 한국대표참석
1948년 제3차 UN 파리 총회 한국 대표참석. 한국 정부 승인을 획득함
김대중 전대통령 내외와 함께
김대중 전대통령 내외와 함께
도산 묘소에서
1973년 3월 11일 도산묘소에서
1972년 7월 본의회
1972년 7월12일 본회의(김용식 외무. 김종필 총리)
한일협정반대
한일협정 반대 시위
허터 미 국무장관과
1960년 11월11일 허터 미 국무장관과
한일협정 반대 시위
한일협정 반대 시위
납치사건 이후 면담
김대중 납치사건 이후 김대중과 면담
김대중˙김상현씨와 함께
당에서 김대중씨와 김상현씨와 함께
김대중 후보 유세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거 유세
국회 고별인사
명동구국선언사건 이후 의원직 사퇴 후 고별인사
중앙신학대학교 설립
중앙신학대학교 설립자 정일형